top of page

진솔한 마음을 구축하기
 

검은 장막 같은 거대한 유리판 5개가 전시장 한 벽을 채우고 있다. 일정하지는 않지만, 일렬로 정렬된 5개의 검은 유리판들. 유리판들 위에는 같은 색상의 무언가로 덮어져 있다. 유리판 전체를 다 덮고 있는 것부터 벗겨져 바닥을 덮고 있는 것까지 모양새가 가지각색이다. 검은색 천, 디멘터1 의 옷자락, 검은 베일을 연상시키는 무언가는 관람객이 유리판에 비치는 범위를 달리한다. “이들은 당연히 전체의 상을 보여주지 않을 뿐 아니라, 고정된 하나의

정체성이나 동일성으로 귀결하지도 않는다.”2

황아일 작가의 〈검은 숲(Black Forest)〉(2021)은 거대한 유리판 위에 라텍스 페인트를 부어 굳힌 후 작가가 임의로 벗겨내거나 찢은 작품이다. 작가는 모든 작업에서 작가 자신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는데, 그 실험의 하나로 탄생한 작품이다. 황아일의 작업은 ‘평범’하다. 미술 재료보다는 산업 현장이나 일상에서 발견하기 쉬운 재료들이 공간을 비우고 메운다. 눈에 띄게 반짝이지도 알록달록하지도 않은, 무채색의 유리판과 유리판을 복사한 라텍스

페인트 덩어리만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유리판과 라텍스 페인트는 공간, 관람객과 매개한다. 라텍스 페인트는 전시장을 투영하는 유리판을 감추어 관람객이 감상할 공간을 결정해준다. 그리고 유리판의 흔적으로 기능해 직사각형인 유리판의 원형-조각이 된다. 즉, 흔적-조각 혹은 흔적이라 일컬을 수 있는 라텍스 페인트는 유리판을 모방하고, 예술작품이 되기 위한 단서가 된다.3 이는 본질의 또 다른 정체성으로 라텍스 페인트가 변모함을 의미한다.

 

일부가 전체를 연상시키는 현상은 관람객이 작품과 마주할 때도 반복된다. 이은지 작가의 〈덩굴〉 작업을 반사하는 작품 일부는 거울로서 관람객을 비춘다. 온전하지 않은 반사에 걸친 관람객은 관람객이지만 관람객이 아니다. 관람객은 자신을 모방하지만, 자신이 될 수 없는 것을 ‘번역’4 하며 작품과 관계 맺는다. ‘번역’을 통해 이것과 저것으로 정의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양쪽을 가르는 경계를 사라지려 애쓴다.

 

유리판인 것과 유리판이 아닌 것(라텍스 페인트로 이루어진 것), 원형과 복제, 경계 없음과 경계가 있음. 이 모두는 이분법의 논리로 바라본 〈Black Forest〉를 지칭한다. 그러나 반대로 〈Black Forest〉를 설명하는 이 단어들은 하나로 수렴(Konvergenz)되는 관계를 지닌다. 거듭된 재현으로 얽힌 이들은 하나를 가리키는 합목적성(Zweckmäβigkeit)을 띤다.5 같은 이름을 지녔으나 다른 존재를 가리키는 것, 다른 단어로 서술하지만 같은 존재를 가리키는 것은 경계를 재확인한다. 경계를 인식하고, 하나의 결론으로 향하는 두 존재는 그 경계의 허물을 무너뜨리기 위한 진솔한 마음으로 공통된 언어를 꿈꾼다.

1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마법 생물. 마치 사신처럼 온몸에 두른 검은 망토를 뒤집어쓴 채 허공 위를 떠다니는 귀신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평소에는 로브를 뒤집어쓰고 다녀서 잘 안 보이지만 얼굴에는 눈이 없고 뻥 뚫린 구멍 같은 입만 있다.

J.K.롤링, 「Dementor」,『Harry Potter Wiki』(2005), https://harrypotter.fandom.com/wiki/Dementor(2021.08.05)

2 김미정, 2006, “도플갱어 윤리학 혹은 어떤 구애의 형식”,『훌』, 문학동네, 1호: 302.

3 윤미애(Mi Ae Yun), 2013, “현대 예술 및 문화: 흔적과 문지방. 벤야민 해석의 두 열쇠”.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Bertolt Brecht und das moderne Theater), 0권 28호: 192-193.

4 발터 벤야민,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번역자의 과제 외』, 최성만 (도서출판 길, 2008), 15.

5 발터 벤야민,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번역자의 과제 외』, 125-126.

땡땡 콜렉티브/이아현

Building an Honest Mind

Five giant glass plates, like a black shroud, fill one wall of the exhibition hall. Five black glass plates arranged in a row, but not constant. The glass plates are covered with something of the same color. There are various shapes from covering the entire glass plate to covering the floor with peeling off. Something reminiscent of a black cloth, a dementor’s1 hem, and a black veil varies depending on the audience. “They, of course, do not show the picture of the whole, nor do they result in a fixed identity or law of identity.”2

 

Ail Hwang’s 〈Black Forest〉(2021) is a piece of art that was poured latex paint on a huge glass plate, hardened, and then randomly peeled off or torn apart by artists. The artist tries to exclude himself from all work as much as possible, which was born as part of the experiment. Ail Hwang’s work is ‘ordinary’. Materials that are more likely to be found on industrial sites or in everyday life than art materials empties and fills the space. Only a chunk of latex paint, copied from an achromatic glass and glass plates, which are not noticeably shiny or colorful, welcomes audience.

Glass plates and latex paints mediate with space and audience. Latex paint hides the glass plate that projects the exhibition hall and determines the space for audience to enjoy. It functions as a trace of a glass plate and becomes a original-sculpture of a rectangular glass plate. In other words, latex paint,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trace-sculpture or trace, mimics glass plates and becomes a clue to becoming a work of art.3 This means that latex paint is transformed into another identity of essence.

The phenomenon, which is partly reminiscent of the whole, is repeated when audience face the work. Some of the works reflect Leeeunji’s 〈Creeper〉 also reflect the audience as a mirror.Audience who are not fully reflected are audience, but not audience. Audience copy themselves, but they ‘translate’4 what they can’t be and relate with the works. Through ‘translation’, it is not only defined as this and that, but also tries to eliminate the boundary that separates the two sides.

 

Glass plate and non-glass plate (made of latex paint), original and replica, borderless and bordered. All of these refer to 〈Black Forest〉 viewed through the logic of dichotomy. However, on the contrary, these words that describe 〈Black Forest〉 have a converging(Konvergenz) relationship. Those entangled by repeated representations have a purposefulness(Zweckmäβigkeit) that points to one. To have the same name, but to refer to another being, to another word, but to the same being reaffirm the boundaries. The two beings who recognize boundaries and head to one conclusion dream of a common language with a sincere heart to break down the fault of the boundaries

1 The magical creature in the Harry Potter series. It looks like a ghost floating in the air, wearing a black cape all over its body like a dead body. You can’t see it well because it usually wear a robe, but there are no eyes on the face and only a mouth like a hole.

J.K.Rolling, 「Dementor」,『Harry Potter Wiki』(2005), https://harrypotter.fandom.com/wiki/Dementor (2021.08.05)

2 Mijung Kim, 2006, “Doppelganger Ethics or Some Form of Courtship”,『Hool』, Munhakdongne, 1st: 302.

3 Mi Ae Yun, 2013, “Spuren und Schwellen -Zwei Schlussel der Interpretation von Benjamins Denken.”. Bertolt Brecht und das moderne Theater, 0.28 (2013): 189-212.

4 Walter Benjamin, Über Sprache über haupt und über die Sprache des Menschen/Die Aufgabe des Übersetzers, 15.

00collective/Ah Hyun Lee

bottom of page